Juna Lee  Worship of The Mad Snake
Ehibition

Oct 5 - Oct 30, 2024
11:00 - 18:30
(Closed on Mondays)

The WilloW

Artist | Juna Lee
Curator | Jaemin Shin
Graphic Desgin | Praktik
Installation Assistant | Jeongwon Kim, Hyelin Ha
Photo | Kits Studio (Artwork), Eun Chun (Exhibition)
Opening Collaboration | Grasso Wine Bistro

Organized by The WilloW, Punkt und Linie


이준아 
《미친 뱀에게 경배를》

전시

2024년 10월 5일 - 10월 30일
11:00 - 18:30 
(월요일 휴일)

더 윌로

작가 | 이준아
기획 | 신재민
그래픽 디자인 | 프락틱
설치 도움 | 김정원, 하혜린
사진 | Kits Studio (작품), 전명은 (전시 전경)
영상 | 이동웅
오프닝 협력 | 그라쏘 와인 비스트로

주최·주관 | 더 윌로, 점과선 프레스

In her solo exhibition “I Am Walking In The Dark Woods But The Stars Do Not Shake” at d/p last year, Juna Lee looked at the origin of her abstract paintings from her father. At that time, rather than remaining her father as “My Father” on a personal level, Lee objectified him as an intellectual, who had lived through a turbulent period of sharp polarization, as well as a historical figure, who had not reache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tate of madness. Followed by it, in the solo exhibition of this year, titled “Worship of The Mad Snake,” Lee places her father on the same line as historical figures such as Aby Warburg and Carl Jung. In other words, Lee places her father in the same position as Warburg, who introduced an anthropological approach to art history by looking at images as accumulations of memory, and Jung, who explored the archetypes of images that emerge through the unconscious in psychoanalysis. What is Lee’s intention in placing her father on the same level as the historical scholars, who have already passed away into history? Using historical figures as reference points, Lee hopes that the mental inheritance from her father transcends the personal level and functions as a singularity that reconstructs the general. Lee’s practice constantly oscillates between polarities ー such as divergence/convergence, rationality/irrationality, East/West, shamanism/science, chance/logic, and good/evil ー, balancing precariously but sometimes slipping. Her practice is embodied in the iconography of the snake erupting with fierce energy, the mandala converging toward the center, and the Ouroboros symbolizing cycles and rebirth.

Text by Jaemin Shin, Curator


작가 이준아는 2023년 d/p에서의 개인전 《나는 어두운 숲 속을 걷고 있지만 별들은 흔들리지 않지》에서 그간 이어온 우연의 기법에 근거한 추상 회화의 근원을 아버지로부터 찾아왔다면, 이번 개인전 《미친 뱀에게 경배를》에서는 아버지를 아비 바르부르크(Aby Warburg), 칼 융(Carl Jung)과 같은 인물들과 동일선상에 놓는다. 지난 개인전에서 작가는 아버지라는 대상을 ‘나의 아버지’로서 개인적 미시사에 머물게 하기보다, 양극의 가치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격동의 시기를 지나온 지성인이자 광기의 역사 속 학문적 성취에 이르지 못한 인물로 객관화해 바라보았다면, 한발 나아간 이번 전시에서는 이미지를 기억의 담지체로서 바라보면서 미술사에 인류학적 접근을 도입했던 바르부르크, 그리고 정신분석학에서 무의식을 통해 나타나는 이미지의 원형을 좇은 융과 동일선상에 아버지를 배치한다. 부재한 아버지를, 마찬가지로 이미 역사 속으로 사라진 당대의 학자들과 동일한 위상에 놓는 이러한 작가의 의도는, 역사적 인물들을 참조점으로 삼아 작가가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정신적 유산이 사적인 차원을 넘어 보편을 재구성하는 특이성으로 기능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발산/수렴, 이성/비이성, 동양/서양, 주술/과학, 우연/논리, 선/악과 같은 양극성 사이에서 끊임없이 진동하며, 아슬아슬 균형을 잡되 때로는 미끄러지는 작가의 실천은 격렬한 에너지를 분출하는 뱀 도상과 중앙으로 수렴하는 만다라, 그리고 순환과 재생을 상징하는 우로보로스의 이미지를 통해 구체화된다. 

글 신재민 큐레이터